생존의 물을 다시 생각하다(1) - 물 부족의 현실 > 바질 리포트

본문 바로가기

바질 리포트

생존의 물을 다시 생각하다(1) - 물 부족의 현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Willden / 작성일2024-03-26

본문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UN환경개발회의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행동강령인 아젠다21(Agenda 21)이 채택되었다. 이 회의에서 지속가능성은 핵심 화두였고, 거기에는 물의 지속가능성도 포함되어 있었다. 점차 심각해지는 물 부족과 환경 오염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물의 소중함을 알리기 위해 제안된 ‘세계 물의 날 준수 결의안’이 체택되었고, 매년 3월 22일은 세계 물의 날로 정해졌다. 이런 세계적인 흐름을 따라 우리나라도 1995년부터 ‘물의 날’을 기념하기 시작했다.그러나 이 땅에 살고 있는 우리의 수자원이 어떤 상황인지 알고 있는 이는 과연 얼마나 될까? 

이미 세계에서는 우리나라를 물 부족 국가로 분류했다. 국가물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우리나라 1인이 1년 간 쓸 수 있는 1,453㎥로 세계 153개국 중 129위이다. 연평균 강수량 역시 1,283㎜로 세계 평균보다는 많지만, 강수량이 여름에 집중되어 있고 인구 밀도가 높다. 1인당 강수량은 연간 2,700t으로 세계 평균 1만 5,044톤의 1/6에 불과하다.


앞서 말한 것처럼 많은 양이 여름철에 집중되기 때문에 봄, 가을, 겨울에는 가뭄으로 농업용수뿐만 아니라 생활용수까지 부족한 경우가 발생한다. 뉴스에서 듣는 전국 각 지역의 가뭄 소식은 그냥 나오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91%가 도시에 사는 우리의 수도 사용은 남다르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절반 가량은 하루 94ℓ의 물로 살아간다. 환경 선진국으로 불리는 독일은 127리터, 덴마크는 131리터를 쓰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두 배가 넘는 302리터를 사용한다. 순수하게 가정에서만 쓰는 물을 따져도 198리터로, 세계적으로는 1인당 세 번째로 물을 많이 사용하는 나라이다.



‘지구 지표면의 70%가 물이라는데, 왜 물 걱정을 하는가?’ 생각할 수도 있다. 맞다. 지구에는 ‘물’은 많다. 다만,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물’이 70%의 물 중 0.77%밖에 되지 않을 뿐.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 중 약 97.5%는 바닷물이거나 염분이 섞인 물이다. 곧바로 식수나 농업용수로 사용할 수가 없다. 그래서 실제 바로 쓸 수 있는 물은 약 2.5%의 민물인데, 그나마도 대부분이 빙하거나 지하수로 저장되어 있다. 여름이 되면 설산의 빙하가 녹아 그 지역민의 식수가 되어주고 있지만, 그것은 빙산의 일각일 뿐이다. 사정이 그러하다 보니 실제 사용가능한 물은 0.77%가 되었다. 이 적은 양의 물은 산업이 발달하고 인구가 늘어나 사용량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데다, 기후변화로 담수 증발이 급증하면서 사용량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로 수분 증발량이 7% 증가했는데, 그 양이 8,900억 톤에 달한다. 이는 세계 최대 댐 중 하나인 중국 싼쌰댐 저수량 393억 톤의 22배를 넘는 양이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급기야 2009년 세계경제포럼은 물 부도가 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왜 세계경제포럼이 물 부도가 날 수 있다고 경고했을까? 이는 물 부족을 넘어 안보와도 관련있기 때문이다. 물은 생존은 물론 안보와도 관련된다주로 강을 끼고 있는 국가들 간에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나일강을 끼고 벌어지고 있는 이집트와 에디오피아 분쟁이 대표적이다.



f4f1420cd747952a18bbc593fd96d7b8_1711427450_2577.jpeg
<청 나일강에 세워진 그랜드 에디오피아 르네상스 댐>


 물을 둘러싼 이집트와 에디오피아의 갈등은 에디오피아가 나일강 상류에 2011년부터 초대형 댐을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 댐 건설은 에디오피아에게는 부흥의 기회가 되었지만. 이집트에게는 생존 위협이었다. 이미 아스완 댐을 건설하면서 토지가 황폐화되는 것을 경험했던 이집트로서는 에디오피아의 댐은 심각한 문제였다. 댐을 채우기 위한 기간을 협의 중이지만, 에디오피아는 5~7년, 이집트는 더 긴 기간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고, 의견 일치가 되지 않으면 전쟁도 불사하겠다는 상황이 되었다.지금 이 갈등은 이집트의 아랍연맹과 에디오피아의 아프리카연합까지 끌어들이며 확대되고 있다. 




 물을 통제하려는 국가와 주민 간의 갈등도 있다. 아시아의 아마존강으로 불리는 메콩강은 중국에서 시작해 인도차이나 반도를 가로질러 인도양으로 흘러나간다. 라오스,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는 이 강에서 나는 것을 먹고 살아간다. 그런데 1988년 중국이 만완발전수력발전 계획을 세우면서 메콩강에 댐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이후 11개의 댐이 더 새워졌고 을 둘러싸고 중국이 상류에 댐을 지었고, 뒤를 이어 메콩강의 3분의 1이 지나는 라오스가 수력발전을 통한 경제개발을 위해 댐 건설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16년 간 50개 이상의 댐이 지어졌고, 각국의 어엽과 농업은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댐 부근에 살던 사람들은 생계가 불가능해졌다. 이에 매콩강 곳곳에서 댐 건설을 반대하는 주민의 저항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앞의 사례들은 댐 건설로 줄어든 물이 일으킨 갈등이라면, 우리나라에서는 물 부족이 바로 산업에 타격을 주었다. 1990년대 후반 포항은 극심한 가뭄으로 공업용수 부족이 위험한 수준까지 갔었다. 이렇듯 우리를 둘러싸고 물은 고갈에 대한 경고를 우리에게 계속 보내고 있다.


(2편 '숨겨진 물'에 계속)

사이트 내 전체검색


BASIL@2019 Willden Corp. All Rights Reserved.